개발/CS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데이터베이스 PK로 auto-increment를 사용하면 안 될까?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기본 키(Primary Key) 선택은 시스템의 성능, 확장성, 그리고 데이터 무결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결정입니다. PK를 바꾼다는 것은 꽤나 번거로운 작업이기에 나중에 확장하기 쉽거나 어렵게 만드는 결정을 끊임없이 내리게 됩니다.기존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RDB 테이블의 PK의 경우 대부분, 데이터베이스의 auto increment ID 생성 전략에 위임하고 신경 쓰지 않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최근 supabase로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PostgreSQL의 PK 생성 옵션으로 auto increment와 UUID 중 선택할 수 있었는데, 여기서 UUID를 PK로 사용하는 것의 장점을 살펴보고, 토이 프로젝트에 UUID를 적용하는 것이 적절할지 고민해보겠습니다.먼저.. 버퍼(Buffer)에 대한 이해와 활용 컴퓨터 과학에서 버퍼(Buffer)라는 용어는 자주 등장합니다. 버퍼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으로,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버퍼의 정의와 목적, BufferedReader와 FileReader의 성능 차이, 데이터베이스 대량 데이터 전송에서 버퍼 사용의 중요성을 살펴보겠습니다.버퍼(Buffer)의 정의와 목적버퍼의 사전적 정의버퍼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 차이를 완화하고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버퍼는 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데이터 전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버퍼의 목적버퍼는 여러 가지 중요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데이터 임시 저장 및 속도 차이.. 이전 1 다음